새 휴대폰을 구매할 때
기기값을 한 번에 내기보다는 ‘할부’로 나눠내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막상 계약서에 써 있는 숫자를 보면
할부원금이 뭐고, 월 납부금은 어떻게 정해졌는지 헷갈릴 수밖에 없죠.
매달 내야 하는 돈이 정확히 얼마인지,
총 이자가 얼마나 붙는지 미리 알고 싶다면
할부금 계산 방식을 간단히 알아두는 게 좋아요.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 할부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차근차근 정리해볼게요.
1. 할부원금 = 단말기 가격 – 지원금
가장 먼저 확인할 건 할부원금(할부총액)이에요.
이건 내가 실제로 할부로 갚아야 할 기기값이에요.
계산 공식은 이래요:
할부원금 = 단말기 출고가 – 공시지원금 – 즉시할인
예시)
- 출고가: 1,200,000원
- 공시지원금: 200,000원
- 즉시할인(판매점 보조금 등): 100,000원
→ 할부원금 = 1,200,000 – 200,000 – 100,000 = 900,000원
2. 무이자 할부인 경우
무이자 할부라면
할부원금을 할부 개월 수로 단순 나눠서 월 납부금을 계산하면 돼요.
예시)
- 할부원금: 900,000원
- 할부기간: 24개월
→ 월 납부금 = 900,000 ÷ 24 = 37,500원
이렇게 매달 37,500원씩 총 24개월 동안 납부하게 돼요.
3. 유이자 할부인 경우
금리가 붙는 유이자 할부라면
단순히 나누는 방식으로는 정확한 월 납부금이 계산되지 않아요.
이럴 땐 할부 이자를 반영한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을 사용해요.
조금 복잡하지만 흐름은 이렇습니다:
매달 납부금 = 원금 일부 + 이자
예시)
- 할부원금: 900,000원
- 금리: 연 5.9%
- 기간: 24개월
→ 이 경우엔 약 39,700원 내외의 월 납부금이 나오게 돼요.
(실제 계산은 금융계산기나 통신사 시스템으로 자동 계산돼요)
총 납부 금액 = 월 납부금 × 개월 수
이렇게 해서 전체 이자 포함 금액을 알 수 있어요.
4. 할부 이자 확인 방법
계약서 또는 단말기 구매 확인서에
다음 항목을 꼭 확인해보세요.
- 할부 수수료율: 연 0% / 연 5.9% 등
- 월 납부금: 정확한 금액 표시
- 총 납부 금액: 월 납부금 × 개월 수
- 총 이자: 총 납부 금액 – 할부원금
이자율이 적혀 있지 않거나
무이자라고 들었는데 월 납부금이 이상하다면
꼭 다시 한 번 계산 요청을 해보시는 게 좋아요.
5. 통신요금과 헷갈리지 않기
할부금은 기기값이고,
통신요금은 요금제 사용료예요.
계약서에는 이 두 가지가 함께 적혀 있어서
합산 금액만 보고 ‘왜 이렇게 비싸지?’ 하고 오해하기 쉬워요.
- 월 할부금: 기기 분할 상환
- 월 통신요금: 요금제 + 부가서비스
→ 이 둘이 더해져서 ‘매달 실제 납부 금액’이 되는 거에요.
6. 중도상환 시 계산 방법
할부금을 중간에 한 번에 갚고 싶을 때도 있어요.
이럴 경우에는
- 잔여 원금 + 남은 이자의 일부 또는 전부
이렇게 정산하게 돼요.
무이자 할부일 경우는 잔여 원금만 갚으면 끝나지만,
유이자일 경우는 중도상환 수수료가 붙는지 여부도 함께 확인해야 해요.
기기값 할부는 단순한 계산 같지만
요금제, 할인, 이자 조건 등 여러 요소가 섞이다 보니
조금만 놓쳐도 생각보다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계약 전에 월 납부금이 어떻게 계산됐는지
직접 계산해보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오해 없이, 납득 가능한 소비가 가능해질 거예요.
'생활 속 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할부와 약정, 둘의 차이 한눈에 보기 (0) | 2025.04.05 |
---|---|
스마트폰 일시불 vs 할부, 어떤 게 더 유리할까? (0) | 2025.04.05 |
스마트폰 할부계약서 보는 법, 중요한 항목 정리 (0) | 2025.04.04 |
사직서 작성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0) | 2025.04.04 |
정중하고 깔끔한 사직서 예시 문구 모음!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