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법률상식

자동차 양도증명서 유효기간, 언제까지일까?

by 자유소망 2025. 3. 31.

 

 

차량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거나 중고차를 개인 간에 사고팔 때는
여러 가지 서류를 준비하게 되죠.


그 중에서 빠지면 안 되는 게 바로 자동차 양도증명서예요.

 

양도증명서는 거래가 실제로 이루어졌다는 걸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인데,
이 서류가 아무 때나 쓸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언제까지 유효한지 정확히 알지 못하면
기한이 지나 다시 서류를 준비해야 하거나,
원하지 않는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어요.

 

오늘은 자동차 양도증명서의 유효기간이 정확히 언제까지인지,
그리고 그 안에 꼭 챙겨야 할 것들을 정리해볼게요.


 

1. 양도증명서는 양도일자부터 효력이 시작돼요

 

자동차 양도증명서는 양도인(파는 사람)과 양수인(사는 사람)이
서로 차량을 주고받기로 약속하고 서명을 한 시점부터 유효해요.

 

서류에 적힌 날짜가 ‘양도일자’가 되고,
이 날짜를 기준으로 행정적인 절차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정확히 적어야 해요.

 

실제 명의이전 신청을 하는 날짜와 달라도 상관은 없지만,
중요한 건 양도일자 기준으로 시간이 흐른다는 점이에요.

 

 

 

2. 양도일자로부터 15일 유효

자동차관리법에서는 양도 후 15일 이내에 명의이전 등록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요.

 

즉, 양도증명서를 작성한 날로부터 15일이 지나면
해당 서류로 명의이전을 신청하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어려워질 수 있어요.

 

양도증명서 그 자체가 무효화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기한 내 신청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고,
양도 효과도 인정받기 어렵게 될 수 있어요.

 

그래서 서류를 작성하셨다면 너무 늦지 않게,
가급적이면 작성 후 3~5일 안에 처리하시면 여유롭게 진행하실 수 있어요.

 

 

 

3. 인감증명서도 함께 고려하셔야 해요

양도증명서를 제출할 때는 보통 양도인의 인감증명서도 함께 제출하게 돼요.

이 인감증명서는 대부분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의 문서만 인정되고 있어요.

 

그래서 양도증명서만 따로 생각하실 게 아니라,
함께 제출하는 다른 서류의 유효기간도 고려해서 준비하시면 좋아요.

 

특히 인감증명서를 먼저 떼고 시간이 꽤 지난 뒤에 양도증명서를 작성하는 경우라면
다시 발급받아야 할 수도 있으니까 주의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4. 전자문서로 작성해도 유효기간 개념은 동일해요

요즘은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www.ecar.go.kr) 같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양도증명서를 전자문서로 작성하는 분들도 많아요.

 

전자문서든, 종이문서든 양도일자 기준 15일 이내에 명의이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은 같아요.

 

온라인 작성이 더 편하긴 하지만,
작성한 날짜가 전산에 기록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정확한 기한 계산이 필요할 수 있어요.

 

출력해서 직접 제출하거나,
스캔본으로 첨부해도 되는 경우가 있으니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준은 같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5. 기한이 지나면 다시 작성해야 하나요?

15일이 지나면 무조건 무효가 되는 건 아니지만,
실무에서는 서류를 다시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양도일자와 실제 명의이전 신청일 사이에 차이가 크면
담당자가 "양도일자를 수정하거나 서류를 새로 작성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혹시라도 기한이 지나버렸다면,
다시 작성하는 게 깔끔하게 처리가 되는 방법일 수 있어요.

 

그 과정에서 인감증명서나 등록증 등 다른 서류도 다시 준비해야 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하시면 좋겠습니다.

 

 

 


 

요약 정리

  • 양도증명서의 기준 날짜는 양도일자예요
  • 양도일로부터 15일 이내에 명의이전 신청이 완료되어야 해요
  • 인감증명서 등 함께 제출하는 서류의 유효기간도 고려해야 해요
  • 전자문서로 준비하더라도 동일한 기한이 적용돼요
  • 기한이 지났다면 새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게 안전해요